티스토리 뷰

목차



    (왼쪽) 영화 <레이디 버드> 포스터, (오른쪽) 영화 <피아노> 포스터

     

    남성 감독과는 다른 여성 감독들의 시각이 영화 속 여성 캐릭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살펴봅니다. 여성 감독들은 여성의 자아 발견, 욕망, 성장과 독립을 깊이 탐구하며 더 주체적이고 섬세한 여성의 이야기를 그려냅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레타 거윅 감독의 <레이디 버드>와 제인 캠피온 감독의 <피아노>를 통해 여성의 성 역할 변화와 여성 감독의 독창적인 시선을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레이디 버드> (2017): 여성의 성장과 독립을 향한 여정

     

    • 감독 : 그레타 거윅
    • 주제 : 청소년기의 혼란, 자립과 정체성 찾기

    작품 배경과 줄거리

    영화 <레이디 버드>는 2000년대 초반 미국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를 배경으로, 고등학교 졸업을 앞둔 한 소녀의 성장 이야기를 다룹니다. 주인공 ‘레이디 버드’(본명 크리스틴)는 자신을 특별한 존재라고 믿으며 답답한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고, 가족과의 갈등, 친구 관계의 변화, 첫사랑의 실패 등 청소년기의 혼란과 성장통을 겪게 됩니다.

     

    여성 감독 그레타 거윅의 시선

    그레타 거윅은 <레이디 버드>에서 남성 감독들이 종종 지나치게 드라마틱하거나 평면적으로 그리는 여성 청소년 캐릭터를 탈피해, 현실적인 인물로 그려냅니다. 레이디 버드는 강인하면서도 불완전하고, 독립을 갈망하지만 그 과정에서 끊임없이 실수합니다. 이러한 모습은 많은 여성 관객들에게 깊은 공감을 이끌어냅니다.

     

    핵심 장면 분석

     

    • 모녀 관계의 현실성 : 레이디 버드와 어머니 마리온의 관계는 사랑과 갈등이 얽힌 복잡한 감정선을 보여줍니다. 마리온은 경제적 불안 속에서도 딸을 걱정하지만, 지나치게 현실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로 딸과 충돌합니다. 그러나 영화 후반부, 레이디 버드는 어머니의 깊은 사랑을 깨닫고 감동하게 됩니다. 이 장면은 여성 감독만이 다룰 수 있는 모녀 관계의 섬세함을 담아냅니다.
    • 독립과 성장 : 대학에 합격한 레이디 버드는 고향을 떠나며 자신의 꿈을 향해 나아갑니다. 그러나 혼자서 맞이한 도시에서의 첫날, 그녀는 ‘집’과 어머니의 소중함을 깨닫습니다. 이는 ‘성장’이란 독립뿐만 아니라 가족과의 연결을 이해하는 과정임을 보여줍니다.

     

    여성의 현실적 성장

    그레타 거윅은 여성 캐릭터의 성장을 단순한 성공 스토리로 그리지 않고, 일상 속 작은 경험과 감정 변화를 통해 더욱 현실적으로 묘사합니다. 이를 통해 여성 청소년의 성장기를 영화 속에 깊이 새겨 넣습니다.

     

    <피아노> (1993) : 억압된 욕망과 내면의 해방

     

    • 감독 : 제인 캠피온
    • 주제 : 여성의 욕망, 자아 발견과 해방

    작품 배경과 줄거리

    <피아노>는 19세기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여성 ‘에이다’의 이야기를 그립니다. 에이다는 강제로 결혼해 뉴질랜드의 외딴 섬으로 보내집니다. 그녀에게 피아노는 감정과 욕망을 표현하는 유일한 수단입니다. 하지만 남편 스튜어트가 피아노를 빼앗고, 이를 되찾기 위해 에이다는 남편의 조력자인 베인즈와 거래를 시작하게 됩니다.

     

    제인 캠피온의 여성 감독적 시선

    제인 캠피온은 여성 캐릭터를 남성 중심의 이야기 속 수동적인 존재로 그리지 않습니다. 에이다는 말을 하지 못하지만 피아노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욕망을 깨달으며 주체적인 삶을 추구합니다.

     

    핵심 장면 분석

    • 피아노와의 연결 : 피아노는 에이다의 내면을 상징합니다. 남편이 피아노를 강제로 빼앗는 장면은 여성의 목소리와 자유가 억압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피아노를 되찾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은 에이다가 자신의 욕망과 정체성을 찾아가는 여정을 상징합니다.
    • 베인즈와의 관계 : 에이다와 베인즈의 관계는 욕망과 해방의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는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라, 억압된 환경 속에서 여성 스스로 자신의 욕망과 감정을 인정하고 주체적으로 행동하게 되는 과정입니다.
    • 해방의 결말 :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에이다는 남편을 떠나 자신의 삶을 선택합니다. 이는 당시 사회적 억압에서 벗어나 여성이 자신의 주체성을 찾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여성 욕망의 정당성

    제인 캠피온은 에이다를 통해 여성의 욕망이 억압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합니다. 남성 중심의 시선에서는 비난받을 수 있는 여성의 욕망이, 이 영화에서는 정당하고 주체적인 삶의 한 부분으로 그려집니다.

     

    여성 감독의 차별화된 시선과 의미

     

    섬세한 감정 묘사

    여성 감독들은 여성의 감정, 욕망, 관계를 더욱 섬세하고 깊이 있게 다룹니다. *<레이디 버드>*의 모녀 관계와 *<피아노>*의 내면 해방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여성 캐릭터의 주체성

    여성 감독은 여성을 이야기의 중심에 두고, 그들이 스스로 성장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는 남성 중심의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수동적 여성’과 차별화됩니다.

     

    여성 경험의 공감대

    여성 감독은 여성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여성의 경험을 영화에 녹여냅니다. 성장이든 욕망이든, 그 과정은 현실적이고 공감 가는 이야기로 표현됩니다.

     

    마무리

     

    그레타 거윅과 제인 캠피온의 <레이디 버드>와 <피아노>는 여성 감독이 어떻게 여성 캐릭터를 독창적이고 주체적으로 그려내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여성의 성장, 욕망, 그리고 해방은 남성 시선에서 단순화될 수 있지만, 여성 감독은 이를 섬세하고 깊이 있게 다룹니다. 이러한 영화들은 여성의 목소리를 드러내며 관객에게 새로운 시각과 감동을 선사합니다.

    반응형